반응형

 2023년 10월, 하마스는 이스라엘을 전격적으로 공격합니다. 이스라엘인 뿐 아니라 여러 나라의민간인을 포함한 다수의 사상자와 포로가 발생한 이 공격은 전 세계에 엄청난 충격을 안겨줍니다. 그리고 이스라엘은 즉각적인 보복에 나서 역시 민간인을 포함한 팔레스타인을 1만명 넘게 학살하는 것으로 응수하였습니다. 대학살극이 벌어진 것입니다. 하지만 이를 중재해야 할 서구 강대국들은 이스라엘 손을 들어줍니다. 이게 어찌된 영문일까요?


“팔레스타인 실험실 (앤터니 로엔스틴 著, 유강은 譯, 소소의책, 원제 : The Palestine Laboratory: How Israel Exports the Technology of Occupation Around the World )”에서 저자는 가자지구에 230만명이 넘는 팔레스타인 사람들을 사실상 가둬 두고 있는 이스라엘의 믿음에 균열을 낸 사건이라 평가하고 있습니다. 물론 하마스 역시 정당화할 수 없는 폭력 집단임을 명확하게 인식해야 합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수 백만명이나 되는 민간인을 사실상 감금하고 있는 이스라엘의 행위 역시 용인될 수 없습니다. 이스라엘은 민간인을 포함해 수 만명을 학살하면서 자신들의 최신 무기를 자랑스레 전시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팔레스타인 실험실 (The Palestine Laboratory)의 작동 방식이며 그 일부라고 저자는 이야기합니다. 

이스라엘은 독립한 이후부터 지금까지 극단적 무력을 행사해오면서도 큰 비난을 받지 않으면서 스스로도 부끄러워하지 않는 거의 유일한 나라가 되었습니다. 이스라엘은 그 이후 무기 산업과 감시 및 정보 산업에 있어 글로벌 리더가 되었습니다. 최근 들어 우크라이나 – 러시아 전쟁으로 인해 특히 이스라엘의 무기 산업은 크게 호황을 맞이하였으며 구매 고객 역시 유럽, 아시아, 남미 등 가리지 않습니다. 
이 뿐만 아닙니다. 이스라엘은 오랜 기간 서안지구와 가자지구를 점령하고 팔레스타인 사람들을감사하며 점령지를 유지하고 통제하는 노하우를 살려 각 국에 수출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 책은 저자가 공개된 정보, 공개되지 않은 비밀 문서 등을 모으고 이를 분석하면서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을 단순히 공간적으로만 점령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들의 탐욕을 실현하는 시험장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 책의 내용을 따라가다 보면 현대사의 많은 사건들이 등장합니다. 마치 이스라엘은 악(惡)의 ‘포레스트 검프’ 같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이 책은 이스라엘에 대한 책이기도 하지만, 이스라엘에만 국한된 이야기도 아닙니다. 피노체트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고, 카슈미르를 옥죄는 인도의 이야기이기도 하면서,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의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팔레스타인실험실 #앤터니로엔스틴 #유강은 #소소의책 #책과콩나무


※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페일 블루 아이 (루이스 베이어드 作, 이은선 譯, 오렌지디, 원제 : The Pale Blue Eye)”를 읽었습니다.

 

  이 소설은 1830년에 미국 육군사관학교 (웨스트 포인트)에서 벌어진 사건을 배경으로 뉴욕 경찰로 재직하다 은퇴한 경찰 랜도와 그의 조수로 임명된 1학년 생도 애드가 앨런 포*가 주인공입니다. 

 

(*네, 우리가 알고 있는 바로 그 앨런 포입니다.)

이 작품은 지금으로부터 200년 전 시대를 배경으로 범죄, 심리적 서스펜스, 음모가 어우러진 흥미진진한 역사 미스터리 소설입니다. 

 

등장 인물 중 애드가 앨런 포가 등장하는 것에서 잘 알 수 있듯이 이 작품은 포의 영향을 받았거나 혹은 그가 남긴 소설의 분위기를 재현하는데 최선을 다한 작품으로 여러 반전과 더불어 약간은 호러스러운 분위기에 복잡하면서 흥미로운 서사가 일품입니다.  

랜도와 포가 살인 사건의 진실을 밝히기 위해 미 육군사관학교에 소속된 교수, 생도들을 심문하면서 수많은 비밀들을 알아내게 되는데 이것이 매우 정교한 내러티브를 만들어내고, 이는 독자로 하여금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게 만들어줍니다. 

 

마침내 진실이 밝혀졌을 때 인간 정신의 복잡성과 함께 그 어두운 일면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19세기 초반의 시대를 꼼꼼하게 재현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벌어지는 미스터리는 낯설지만 흥미로움을 자아내게 만듭니다. 

 

전통적 미스터리 장르의 문법에다 영리한 시대적 배경 선택, 그리고 흥미로운 스토리 텔링은 책 읽는 재미를 보다 배가시켜준다 볼 수 있습니다. 

 

미스터리 장르의 시초라 할 수 있는 에드가 앨런 포를 등장시키면서 자신의 작품의 뿌리가 거기에 있음을 대놓고 드러내는 ‘뻔뻔함’도 흥미로움을 유발하는 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역사 소설이나 미스터리 소설을 좋아하는 독자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작품으로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페일블루아이 #루이스베이어드 #이은선 #오렌지디 #몽실북클럽 #몽실서평단


※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영화 ‘아바타’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인상깊었던 장면은 바로 거대한 식물 네트워크를 통해 나비족이 소통하는 장면이었습니다. 실제로 지구상에 존재하는 많은 식물들 역시 이러한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바로 균근 네트워크입니다. 진균류는 나무의 뿌리와 탄소 영양분을 서로 교환하는데 이때 많은 정보들 역시 포함하여 교환하며 이러한 균사체 밀도는 매우 높아 상당히 많은 정보가 교환된다는 사실을 밝혀낸 과학자가 있습니다.  바로 수잔 시마드 (Suzanne Simard)입니다.

수잔 시마드가 자신의 연구 성과를 대중과학서적으로 펴낸 책이 바로 이번에 읽은 “어머니 나무를 찾아서 (수잔 시마드 著, 김다히 譯,  사이언스북스, 원제 :  Finding the Mother Tree: Discovering the Wisdom of the Forest)”입니다. 


이 책의 핵심 주제는 바로 진균 네트워크에 대한 탐험입니다. 식물들은 진균 네트워크를 통해 커뮤니케이션을 하는데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바로 다양한 생물 간의 상호작용이 끊임 없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사항은 저자의 과학적 엄밀성을 통해 성실하면서도 신중하게 설명되면서 숲을 바라보는 독자의 관점을 바꿔냅니다. 식물들 간의 진균 네트워크를 통한 의사 소통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정밀하게 탐구합니다. 저자는 이 미세한 네트워크를 통해 나무들이 지하에서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를 설명하면서 다양한 과학적 연구를 통해 나무들이 서로에게 영양을 공유하고 정보를 전달하는 등 복잡하고 세심한 상호 작용을 자세히 소개합니다. 이것은 식물이 살아가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우리가 상상하는 것 이상으로 풍부하고 연결되어 있다는 새로운 시각을 엽니다. 진균 네트워크는 미생물이 가지는 생태학적 의미를 더욱 확장하고 있습니다. 숲이 기후 변화에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대한 중요성은 더할 나위 없습니다. 기후 위기 시대에 숲이 가지는 회복력은 어쩌면 긴박한 문제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돌파구를 생각해볼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저자는 우리에게 일반적인 생태학적 시각을 넘어서 숲을 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합니다. 그녀는 진균 네트워크에 대한 과학적 성취를 통해 우리의 생태학적 관점을 혁신적으로 바꾸고자 합니다. 이 네트워크는 나무들 간의 의사 소통을 가능케 하는 미세한 지하 구조로, 숲을 단순한 나무들의 집합체가 아닌 상호 연결된 생태 공동체로 이해하게끔 이끕니다. 그럼으로써 이 책을 통해 독자는 인간이 자연을 바라보는 관점, 그리고 자연과 맺는 관계에 있어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는 점을 깨닫게 됩니다. 숲은 개체가 모여 있는 공간이 아니라 복잡하고도 정밀한 네트워크라는 점을 저자는 강조하고 있으며 인간 역시 이 공동체의 일부가 될 수 있고, 지구라는 행성의 건강성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임을 더욱 강조합니다.  


이 책을 통해 독자는 숲 생태계가 가진 신비롭고도 매혹적인 세계를 과학적 담론과 함께 깊이 있는 이야기를 통해 독자들에게 전해줍니다. 저자는 스스로의 과학적 성취를 통해 광범위한 식물 네트워크를 증명해냈고, 이를 총망라하여 인간만의 영역이라 생각했던 선입견에 도전하고 기어코 이를 성공해내는 업적을 이 책에서 보여주고 있습니다.  

#어머니나무를찾아서 #숲속의우드와이드웹 #수잔시마드 #김다히 #사이언스북스 #컬처블룸


※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