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 출처 : 알라딘)
ㅇ 제목 :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 우리의 직관 너머 물리학의 눈으로 본 우주의 시간
ㅇ저자 : 카를로 로벨리 (Carlo Rovelli)
ㅇ역자 : 이중원
ㅇ 출판사 : 쌤앤파커스
ㅇ 출간일 : 2019-06-10
ㅇ 원제 : L'ordine del tempo (2017년)
ㅇ 책소개 (알라딘)
양자중력 이론의 선구자, 카를로 로벨리의 세 번째 책. 양자중력 이론의 관점에서 바라본 ‘시간’에 관한 이야기. ‘시간이란 도대체 무엇일까?’ ‘시간이 흐른다는 것은 실제로 어떤 의미일까?’ ‘우리가 이곳에서 경험하는 시간과 우주의 시간은 다른 것일까?’ ‘왜 과거는 떠올릴 수 있고 미래는 떠올릴 수 없을까?’…. 이 책은 이러한 질문들에 대한 카를로 로벨리의 충실한 답변서이다.
시간에 관한 우주의 거대한 이야기가 온전히 담겨 있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인간이 인류의 역사에서 시간을 어떻게 이해해왔는지 알게 되고, 나아가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어 지구의 시간, 아니 우주의 시간 그리고 시간의 본질에 대한 이해에 한 발짝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덤으로 물리학과 철학, 그리고 문학이 한데 어우러진 문장마다 깃든 아름다움은 과학책에서는 발견하기 드문 쏠쏠한 행운이기도 하다.
ㅇ Review
좋은 대중과학서는 적당히 어려우면서도 재미있어야 하죠. 적당히 어렵다는 말은 독자가 가지고 있는 과학적 지식의 경계에서 그리 멀지 않은 새로운 지식이나 관점을 줄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만약 너무 멀어버리면 이해가 안되거나 지레 포기해 버리기 때문에, 경계 안쪽으로 들어와 버린다면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이나 관점을 되풀이하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책을 읽는 의미가 줄어들지요. 독자의 지식 층위는 굉장히 그 폭이 넓어서 '적당히 어렵다'라는 요건을 맞추기에 굉장히 까다로운 것은 사실입니다. 더구나 재미까지 있어야 한다니요. 전문가들의 글쓰기는 재미와는 거리가 먼 경우가 많은 것도 현실이지요. 카를로 로벨리는 전작인 '모든 순간의 물리학'에서 만나본 적 있습니다. 현대 물리학에 대한 개론 강의를 모아 놓은 책이었는데 '나'에게는 좋은 과학대중서의 요건에 부합한 책이었습니다. 그러기에 물리학의 눈으로 본 ‘시간’에 대한 개론서인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를 기대를 가지고 읽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고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시간이라는 개념이 당연하게도 현대 물리학에서는 부정된다고 합니다. 시간은 유일하지도, 흐름의 방향이 있지도 않는다고 하는군요. 심지어 양자 단계에서의 시간은 연속적이지도 않는다고 합니다. 또한 우주의 시간 구조는 수많은 광원뿔로 이루어져 과거의 연속적 시간 층위와는 전혀 다르다고도 합니다. 여기까지가 1, 2부의 내용입니다. 억지로 이해하는 척하면서 넘어왔지만 이런 노력도 3부 시간의 원천에서 무너져버리고 맙니다. 제가 배움이 아직 부족한 탓인지 3부를 읽는 내내 눈으로 글은 읽고 있지만 머리에 전혀 들어오지 않았습니다. 오랜만에 겪어보는 한 페이지 넘기기 어려운 독서 경험이었습니다. 기회가 되면 한번 더 읽어봐야 할 것 같네요.
'Book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view] 롱 웨이 다운 (제이슨 레이놀즈 著, 밝은세상) (0) | 2020.01.09 |
---|---|
[Review] 숙녀들의 수첩 (이다솔 / 갈로아 著, 들녘) (0) | 2020.01.08 |
[Review] 오직 달님만이 (장아미 著, 황금가지) (0) | 2020.01.06 |
[Review] 나, 티투바, 세일럼의 검은 마녀 (마리즈 콩데 著, 은행나무) (0) | 2020.01.03 |
[Review] 심장 (샌디프 자우하르 著, 글항아리사이언스) (0) | 2020.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