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칸트의 실천이성비판 (박정하 著, 한국철학사상연구회 企, EBS BOOKS)”를 읽었습니다. 이 책은 칸트 (Immanuel Kant, 1724~1804)3대 비판서 중 하나인 실천이성비판을 해설하는 대중교양철학서입니다.

칸트는 서양 철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칸트 이전의 철학은 칸트에 의해 집대성하였고, 칸트 이후의 철학은 모두 칸트에 의해 나왔다고도 이야기하는 사람이 있을 정도입니다. 서양 철학의 가장 큰 저수지라 평가하는 사람도 있을 정도입니다. 이 책의 저자는 이러한 칸트에 대한 평가는 다소 과장이 있을지 몰라도 부정할 수 없는 평가라며 동의하고 있습니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실천이성비판은 계몽주의 완성이며 철학적 근대성을 확립한 저작이라 평가하며 칸트 윤리학을 집약한 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순수이성비판이 이론 철학으로 사람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지만 오늘날에 미치는 영향력은 실천이성비판이 더욱 크다고 저자는 평가하고 있습니다.

 

실천이성이 목표로 하는 것, 또한 그 대상은 바로 최고선(最高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최고선은 일반적 도덕 이론에서 개인의 행동이 지켜야 하는 가장 높은 도덕적 원리를 나타냅니다. 욕망 혹은 자연적 욕구와는 그 대상이 전혀 다르죠. 순수 의지와 도덕 법칙으로만 이러한 실천이성을 규정할 수 있습니다.

 

윤리학에서 행복은 빼놓을 수 없는 요소입니다. 이는 칸트도 동의하고 있는 명제입니다. 하지만 행복이 도덕적 행동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도덕성은 의무와 도덕적 원리를 기반으로 한다고 강조합니다. 즉 도덕과 행복은 별개의 독립적 개념이므로 두가지 개념이 합쳐져야 비로소 최고선에 도달할 수 있다고 봤던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칸트가 이해한 최고선은 덕과 행복이 일치하는 것을 말합니다. 최고선은 그 자체로 완전해야 하므로 어떤 것에 종속되거나 부분 이어서는 안 됩니다. 그 자체가 전체이자 완전이어야 합니다. 덕을 갖춘 인격이 동시에 행복도 누리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지요.

 

 

 

#칸트의실천이성비판 #나는어떻게행동해야하는가 #한국철학사상연구회 #박정하 #EBSBOOKS #책과콩나무

 

 

 

※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