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도 더 된 어린 날 어린이 명작 전집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100권 정도 되는 전집에서 엘러리 퀸, 에드가 앨런 포, 아이작 아시모프, 에드워드 엘머 스미스, 로버트 하인라인, 레이몬드 챈들러, 아서 클라크, 코난 도일, 애거서 크리스티, 모리스 르블랑 등 지금 와서 생각해보면 정말 굵직 굵직한 이름값을 가진 작가들의 작품들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지금도 SF와 추리소설을 좋아하는 것을 보면 제 독서 취향은 아마도 그 때 형성된 것이 아닌가 합니다.
그때 대실 해밋(Dashiell Hammett, 1894~1961)이라는 작가를 만난 적이 있습니다. “말타의 매(The Maltese Falcon)”라는 작품이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아마도 중역본에다 발췌본이었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작가들과는 확연히 다른 소설임이 느껴졌던 기억이 어슴푸레 남아 있습니다. 그러한 스타일의 미스터리 소설을 하드보일드라고 한다는 것은 나중에 알았지요. 마치 007 시리즈만이 스파이 영화라 생각하던 만 보던 사람이 제이슨 본 시리즈를 처음 봤을 때의 느낌과도 비슷할 것입니다.
네, 대실 해밋은 레이몬드 챈들러(Raymond Thornton Chandler, 1888~1959)와 함께 하드 보일드의 원조라 할 수 있는 작가입니다. 하드보일드는 느와르적인 요소가 강하고 현실적 요소가 강하게 반영된 스타일로 그 이전까지 낭만적이며 추리에 방점을 둔 탐정 소설과는 확연히 구별되는 스타일의 소설을 의미합니다.
“초록색 주사위 두 개가 초록색 테이블을 가로질러 굴러가더니 모서리에 부딪혀 튕겨 나왔다.”
내드 보먼트는 도박에서 돈을 계속 잃자 형이라 부를 만큼 가까운 사이이자 정치인인 폴 매드빅에게 돈을 빌리러 갔다 그가 헨리 상원의원의 딸과 결혼할 것이라는 이야기를 듣습니다. 바로 그날 헨리 상원의원의 아들 테일러가 살해된 것을 내드 보먼트가 발견합니다. 그리고 사건은 걷잡을 수 없이 커지는데…
이번에 읽은 “유리 열쇠 (대실 해밋 著, 홍성영 譯, 열린책들, 원제 : The Glass Key)”는 이전에 황금가지에서 번역된 적이 있는 작품인데 이번에 열린책들에서 다른 번역가에 의해 출간되었습니다.
무려 1931년에 처음 출간된 이 작품은 앞서 언급한 하드보일드 소설을 이야기할 때 대표적으로 언급되는 작품 중 하나로 기존 추리소설 혹은 탐정소설에서 보여 왔던 추리 게임, 퍼즐 게임적 요소를 최대한 배제하고 사실적 묘사를 극대화하여 이후 하드보일드의 전형을 만들어낸 작품으로 유명합니다. 출판사 책 소개에도 언급되었지만 실제 대실 해밋이 자신의 작품 중 가장 만족스러운 작품이라 자평했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입니다.
처음 출간된 지 무려 90년이나 지난 작품이지만 낡거나 고리타분하지 않습니다. 추리 소설 팬이지만 대실 해밋을 만나본 적이 없는 독자라면 반드시 한번은 읽어봐야 할 책으로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덧붙이는 말 하나 : 열쇠는 그 특성상 자물쇠를 열기 위해 자물쇠에 들어가 힘이 가해져야 합니다. 그런데 유리 열쇠는 보기에는 아름답고 그럴 듯 해보이지만 실제 자물쇠에 들어가 힘이 가해지는 순간 부서질 수 있습니다. 작품 전체의 이야기를 담아내는 정말 훌륭한 제목입니다.
덧붙이는 말 둘 : 이 작품의 제목은 나중에 북유럽 추리문학상 중 하나인 ‘유리열쇠상 (Glass Key award, 1992~)’의 이름에 남게 됩니다.
#대실해밋, #홍성영, #열린책들, #영미소설, #하드보일드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Book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view] 일본 근대는 무엇인가 (미타니 타이치로 著, 책사리) (0) | 2021.02.09 |
---|---|
[Review] 세계사를 결정짓는 7가지 힘 (모토무라 료지 著, 사람과나무사이) (0) | 2021.02.08 |
[Review] 엔들링 2 – 첫번째 (캐서린 애플게이트 著, 가람어린이) (0) | 2021.02.06 |
[Review] 엔들링 1 – 마지막 하나 (캐서린 애플게이트 著, 가람어린이) (0) | 2021.02.05 |
[Review] 쉽게 믿는 자들의 민주주의 (제랄드 브로네르 著, 책세상) (0) | 2021.02.04 |